'게임/디아블로'에 해당되는 글 37건

  1. 2009.08.27 [정보] 호라드릭큐브 룬업글 아이템업글
  2. 2009.08.27 [정보] 우버디아가 되는몹과 아이피 확인법
  3. 2009.08.27 [정보] 31케릭을 키우며 스텟스킬 찍는법
  4. 2009.08.27 [정보] 디아블로3, 새 직업 몽크(수도사) 공개
  5. 2009.08.27 [정보] 우리가 잘못알고있거나 모르는 디아상식들
  6. 2009.08.27 [정보] 콜투암 배틀오더스로 뻥티기 되는 피는 (출처:두루네)
  7. 2009.08.27 [정보]큐빙 버그 관련 방어구 변화표 입니다
2009. 8. 27. 13:30
Transmute

3 Thul 룬 + 1 최하급 토파즈 = Amn 룬
3 Amn 룬 + 1 최하급 자수정 = Sol 룬
3 Sol 룬 + 1 최하급 사파이어 = Shael 룬
3 Shael 룬 + 1 최하급 루비 = Dol 룬

Transmute 이 룬 업그레이드 공식은 오직 싱글플레이, 오픈베넷 또는 베넷상의 레더캐릭터(Ladder only) 에게만 가능합니다.

3 Dol 룬 + 1 최하급 에메랄드 = Hel 룬
3 Hel 룬 + 1 최하급 다이아몬드 = Io 룬
3 Io 룬 + 1 하급 토파즈 = Lum 룬
3 Lum 룬 + 1 하급 자수정 = Ko 룬

3 Ko 룬 + 1 하급 사파이어 = Fal 룬
3 Fal 룬 + 1 하급 루비 = Lem 룬
3 Lem 룬 + 1 하급 에메랄드 = Pul 룬
2 Pul 룬 + 1 하급 다이아몬드 = Um 룬
2 Um 룬 + 1 토파즈 = Mal 룬
2 Mal 룬 + 1 자수정 = Ist 룬
2 Ist 룬 + 1 사파이어 = Gul 룬
2 Gul 룬 + 1 루비 = Vex 룬
2 Vex 룬 + 1 에메랄드 = Ohm 룬
2 Ohm 룬 + 1 다이아몬드 = Lo 룬
2 Lo 룬 + 1 상급 토파즈 = Sur 룬
2 Sur 룬 + 1 상급 자수정 = Ber 룬
2 Ber 룬 + 1 상급 사파이어 = Jah 룬
2 Jah 룬 + 1 상급 루비 = Cham 룬
2 Cham 룬 + 1 상급 에메랄드 = Zod 룬


Transmute 3 보석 + 1 소켓 무기 (등급관계없음) = 1 소켓 매직 무기 (같은 종류)


Transmute 3 상급 보석 + 1 매직 무기 = 소켓 매직 무기


Transmute 1 Tal 룬 + 1 Thul 룬 + 1 퍼펙트 토파즈 + 노멀 아머 = 같은 종류의 소켓 아머
주)생성되는 소켓의 수는 랜덤입니다.


Transmute 1 Ral 룬 + 1 Amn 룬 + 1 퍼펙트 자수정 + 노멀 무기 = 같은 종류의 소켓 무기
주)생성되는 소켓의 수는 랜덤입니다.


Transmute 1 Ral 룬 + 1 Thul 룬 + 1 퍼펙트 사파이어 + 노멀 헬멧= 같은 종류의 소켓 헬멧
주)생성되는 소켓의 수는 랜덤입니다.


Transmute 1 Tal 룬 + 1 Amn 룬 + 1 퍼펙트 루비 + 노멀 방패 = 같은 종류의 소켓 방패
주)생성되는 소켓의 수는 랜덤입니다.


Transmute 1 Eld 룬 + 1 최하급 보석 + 낮은 퀄러티 무기 = 같은 종류의 노멀 퀄러티 무기


Transmute 1 El 룬 + 1 최하급 보석 + 낮은 퀄러티 아머 = 같은 종류의 노멀 퀄러티 아머


Transmute 1 Ral 룬 + 1 Sol 룬 + 1 퍼펙트 에메랄드 + 노멀 유니크 무기 = 익셉셔널 버전의 무기
이 조합은 아이템의 속성(소켓작업, 에테리얼 등)은 그대로이고 기본 아이템의 등급만 업그레이드 됩니다.


Transmute 1 Tal 룬 + 1 Shael 룬 + 1 퍼펙트 다이아몬드 + 노멀 유니크 아머 = 익셉셔널 버전의 아머
이 조합은 아이템의 속성(소켓작업, 에테리얼 등)은 그대로이고 기본 아이템의 등급만 업그레이드 됩니다.


Transmute 1 Lum 룬 + 1 Pul 룬 + 1 퍼펙트 에메랄드 + 익셉셔널 유니크 무기 = 엘리트 버전의 무기 (래더전용)
이 조합은 아이템의 속성(소켓작업, 에테리얼 등)은 그대로이고 기본 아이템의 등급만 업그레이드 됩니다.


Transmute 1 Ko 룬 + 1 Lem 룬 + 1 퍼펙트 다이아몬드 + 익셉셔널 유니크 아머 = 엘리트 버전의 아머 (래더전용)
이 조합은 아이템의 속성(소켓작업, 에테리얼 등)은 그대로이고 기본 아이템의 등급만 업그레이드 됩니다.


Transmute 1 Ort 룬 + 1 Amn 룬 + 1 최상급 사파이어 + 노말 래어무기 = 익셉 레어 무기
기본 아이템의 등급만 업그레이드 됩니다.


Transmute 1 Ral 룬 + 1 Thul 룬 + 1 최상급 자수정 + 노말 래어방어구 = 익셉 레어방어구
기본 아이템의 등급만 업그레이드 됩니다.


Transmute 1 Fal 룬 + 1 Um 룬 + 1 최상급 사파이어 + 익셉 레어 무기 = 엘리트 레어무기
기본 아이템의 등급만 업그레이드 됩니다.


Transmute 1 Ko 룬 + 1 Pul 룬 + 1 최상급 자수정 + 익셉 레어 방어구 = 엘리트 레어 방어구
기본 아이템의 등급만 업그레이드 됩니다.


Transmute 1 Ort 룬 + 무기 = 내구력이 다 회복된 무기
에테리얼 아이템의 수리는 불가능합니다.


Transmute 1 Ral 룬 + 아머 = 내구력이 다 회복된 아머
에테리얼 아이템의 수리는 불가능합니다.

Transmute 1 Ort 룬 + 칩보석 + 무기(차지있는) = 내구력이 다 회복된 무기
에테리얼 아이템의 수리는 불가능합니다.


Transmute 1 Ral 룬 + 칩보석 + 아머(차지있는) = 내구력이 다 회복된 아머
에테리얼 아이템의 수리는 불가능합니다.

Transmute 1 Hel 룬 + Scroll of Town Portal + Any 소켓 Item = Unsocket that item
주의: 이 조합은 소켓 아이템에 박혀있는 보석, 주얼, 룬등을 제거합니다. 켓 안의 내용물은 모두 사라집니다.

>>1.09 이하 버전에서의 큐브 조합. (1.10에서도 사용가능)

Transmute 같은 종류의 3개의 룬(룬번호 1-9) = 한 개의 상급 룬
3 El 룬 -> 1 Eld 룬
3 Eld 룬 -> 1 Tir 룬
3 Tir 룬 -> 1 Nef 룬
3 Nef 룬 -> 1 Eth 룬
3 Eth 룬 -> 1 Ith 룬
3 Ith 룬 -> 1 Tal 룬
3 Tal 룬 -> 1 Ral 룬
3 Ral 룬 -> 1 Ort 룬
3 Ort 룬 -> 1 Thul 룬

이 공식은 오직'El룬 에서 Ort룬'까지만 작동합니다.상급의 룬은 생성되지 않습니다.

Transmute 3 퍼펙트 해골 + 1 레어 아이템 + 조던링 = 레어 아이템에 1개의 소켓을 추가합니다.
레어 아이템은 오직 하나의 소켓을 가질 수 있습니다. 소켓이 있는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Transmute 1 퍼펙트 해골 + 1 레어 아이템 + 조던링 = 같은 종류의 상급 레어 아이템

Transmute 6 퍼펙트 해골 + 1 레어 아이템 = 같은 종류의 하급 레어아이템
주)스워드류는 소켓을가진 롱스워드 생성

Transmute 4 힐링포션 (아무거나) + 루비 (등급상관없음) + 매직스워드 = 라이프스틸의 스워드

Transmute 3 매직 링 = 랜덤 속성의 매직 목걸이
주)이 조합으로는 2스킬의 아뮬은 나오지 않습니다.

Transmute 3 매직 목걸이 = 랜덤 속성의 매직 링

Transmute 3 힐링포션 + 3 마나 포션 + 1 최하급 보석 = 1 활력 포션
힐링 포션과 마나포션의 종류는 아무런 상관없습니다.

Transmute 3 힐링 + 3 마나 포션 + 1 보석) = 대량의 활력 포션
힐링 포션과 마나 포션의 종류는 아무런 상관 없습니다.

Transmute 3 활력 포션 = 대량의 활력 포션

Transmute 3 같은 종류의 보석(퍼펙트 이하) = 1 윗단계의 보석

Transmute 2 크로스보우용 화살 = 1 화살
생성되는 화살의 수는 랜덤입니다.

Transmute 2 화살 = 1 크로스보우용 화살
생성되는 크로스보우용 화살의 수는 랜덤입니다.

Transmute 1 스피어 + 1 화살 = 1 자벨린

Transmute 1 액스 + 1 대거 = 스로잉 액스

Transmute 3 퍼펙트 보석 (종류상관없음) + 1 매직아이템 = 1같은종류의 새로운 매직 아이템
주의)이 조합으로 2스킬의 매직 아뮬렛이 생성가능합니다.

Transmute 1 가스 포션 + 힐링 포션(종류상관없음) = 1 해독포션

Transmute 6 퍼펙트 보석 (같은 종류) + 1 목걸이 (등급상관없음) = 프리즈머틱 목걸이t
주)올레지의 아뮬렛

Transmute 1 링 + 1 퍼펙트 에메랄드 + 1 해독포션 = 1 제이드 링
주)21~30%의 포이즌 저항력 반지
Transmute 1 링 + 1 퍼펙트 루비 + 1 폭발 포션 = 1 가넷 링
주)21~30%의 파이어 저항력 반지

Transmute 1 링 + 1 퍼펙트 토파즈 + 1 활력 포션 = 1 코럴 링
주)21~30%의 라이트닝 저항력 반지

Transmute 1 링 + 1 퍼펙트 사파이어 + 1 해동포션 = 1 코발트 링
주)21~30%의 콜드 저항력 반지

Transmute 1 스몰쉴드 (매직이상) + 1 스파이크 클럽 (등급상관없음) + 2 해골 (등급상관없음) = 스몰 쉴드 오브 스파이크

Transmute 다이아몬드 (등급상관없음) + 1 스태프 (아무거나) + 1 크리스 (아무거나) + 1 밸트 (아무거나) = 세비지 폴암

Transmute Wirt's Leg(위트의 의족) + 타운포탈책 = 시크릿 카우 레벨



2009. 8. 27. 13:28

간혹 디아를 하면서 위버디아가 떠도 어디서 잡아야 할 지 모르고 갈팡질팡 하시다가

새치기 당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 가까이 가면 위버디아로 변하는 몹들을 소개합니다 !!

 

슈퍼유니크 몬스터는

액트1
덴오브이블의  불타는 시체
콜드플레인의 비쉬보쉬
스토니필드의 라키니슈
트리스트럼의 그리스월드
다크우드의 트리헤드 우드피스트
수도원안쪽의 본에쉬 등이 있으며,

액트2
하수도3층의 라다먼트
죽음의홀 3층 미치광이 블러드리치
클러바이퍼템플 2층 펭스킨 등이,

액트3
프레이어정글 출구의 스톰트리
폐허의사원의 베틀메이드 사리나
트라빈컬의 하이카운실
증오의사원3층의 하이카운실 등.

액트5
블러디풋힐의 쉔크 더 오버시어
블러디풋힐 닥 페런
프리지드 하이랜드의 엘드리치 더 렉터파이어
프리지드하이랜드 샤크투스 슬레이어
아리앗고원의 쓰레쉬 소켓
글레이셜트레일의 본에쉬
니라트하크사원 입구의 핀들스킨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피 확인법

 

시작 - 실행 - command(윈98의경우)를 칩니다

ms 도스 창이 뜨겟죠 핑 확인 하듯이 netstart -n 이라고 쳐줍니다 .

 

예를 들어서 자신의 방의 아피를 확인하시려면. 192.32.4.167:8000 이 4개 숫자를 예로 들겠습니다

8000이라는 것은 포트번호이니 무시하셔도 되구요 제일 마지막 번호인 .. 167을 중요시 여기셔야

해요 ^^ 이게 방의 아이피 번호입니다 . 최신 맵핵은 다들 아이피가 나오지만

혹시나 맵핵을 안쓰시거나 아이피 확인을 모르시는 초보분들을 위한 간단한 팁이었습니다 ^^


2009. 8. 27. 13:27

출처:http://cafe.daum.net/diablomulti

 

작성자:ㅂIㅂrㄹrㅁ

 

 

 

 

 

 

 

 

 

 

 

 

 

 

 

 

■ 31종류 케릭터를 육성하며 경험한 스킬/스텟치/아이템 


인사말 :

디아블로2 멀티플레이에 가입한지 몇 년이 훌쩍 넘어갔습니다.(디아2를 안지1년반쯤 뒤쯤에야 가입을 했거든요. 좀더 일찍 했음 좋았을 것인데요..)

대부분 유령회원으로 있던적이 많았었다죠. 최근에야 종종 어쎄신 게시판에서 주로 놀고는 있지만요. 아직 등업도 안됬죠. ㅋㅋ(개인적으로 스타크래프트의 테란과 같은 약하면서 강한 존재같은... 느낌이...)

어찌됬 건 종족별로 다 매력이 물씬 풍기는 것만은 다들 동감하실 겁니다.


아래에 캐릭터별 특징이나 스킬분배, 스텟치 등을 초보 및 경험에 비추어 해보시면 좋겠다 싶은 것들을 적어봤어요. 디아 프로분 들이야... 도움이 안되실겁니다.(어느 정도 선이 되면 흐름을 충분히 아시니깐요.)






■ 캐릭의 구별 :

디아블로2에는 스킬트리(Skilltree)에 따라 전사(물리공격)형, 법사(마법공격)형의 케릭과


자신의 스텟(능력치)에 따라 맞짱형(공격, 오로지 죽이고 본다!), 블럭형(방어, 안정적인 형태), 피통형(몸빵, 블럭이나 물리뎀지를 안본다면?) 이런 형태로 캐릭터를 구분시켜 놓습니다.


또한, 자신이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도우미형(Help me 버스, 택시, 다들 나를 따르라? 너무 못잡나 앗! 안따라오넹..호곡), 앵벌형(나에게 아이템을 달라~!, 나는 지존이 될것이당~~~ 자기만족, 흐흐 이번엔 아이템으로 멀키울까나...), 듀얼형(다들 죽었스... 난 최고의 헌터얌!), 내멋대로형(그냥 재미로 하지만 효과가 금방 사라지죠.) 이런 모습으로


각각의 형태에 따라 스킬과 스텟에 맞게 분배를 하겠지요.






■ 스킬(Skill, 기술)의 분배

케릭은 랩이 상승함에 따라 1스킬씩의 고유기술을 배울 수 있게 되어있고, 딴 게임보다 유연성이 높아 기술선택의 폭이 자유스럽습니다. 그 것의 향상 기술(스킬)에 따라 케릭터 별로 부르는 이름(애칭, 명칭)이 나타나게 된 이유로 볼 수 있을 겁니다.


물론 퀘스트에서 노멀, 나이트, 헬 총 12개의 스킬이 추가되니 99랩이라면 110개의 스킬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게 있지만... 요즘 들어서는 90랩 넘게는 잘 안키운다죠.(90랩 부터는 잘 오르지 않고, 또 죽으면 경험치 팍팍 줄어듭니다. 그렇다면 본다면 적정선은 90랩 정도로 키울때 100개의 스킬을 사용하는 걸로 정리하면 되겠죠. 잘 키운 캐릭 아니면 99랩은 좀 자제하는 것이 좋아요.)


원하는 스킬을 배우기 위해선 선행 되어야할 스킬을 꼭(길목스킬 최소1개) 찍은 후 넘어가야 다음 스킬을 올릴 수 있으니 이 점은 궁금점으로 질문을 안받습니다. 또한, 랩을 올리면서 스킬오더 같은 것을 물어보실 수도 있으나 역시나 답변 못 드립니다.(랩이 되면 필요한 스킬을 올리시면 되구요. 고랩의 스킬을 배우기 위해선 저랩때 꾹 참는 것도 스스로 하실 일이죠. 한번에 80랩되서 올린다 이런 것도 바람직하진 못하구요.)


그리고 아카데미에도 있지만, 스킬의 효능은 여기를 클릭하면 알 수 있죠. http://www.d2items.com/skills.php [미리 찍어보는 스킬트리],



스킬을 올려주는 것에는 랩에 따른 투자 스킬(직접찍는 스킬, 최대20개 가능, 시너지영향 스킬도 직접찍는 것만 효과를 봅니다.)과 차암 갯수(인벤토리의 차암은 그랜드 10개를 넘게 못가지고 다니죠?), 모든스킬 갯수(착용아이템이나 애니힐 스몰참)에 따라, 케릭터 전용무기의 스킬, 또는 시너지 스킬랩(직접적이진 않지만 순수로 올릴 경우 타 스킬에 증폭효과를 주는 스킬, 데미지가 100 인데 10%가 추가되서 110이 되는 그런 원리죠. 스킬을 안올리고 차지충진된 스킬로 시너지를 받기도 합니다.) 등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전사는 스킬도 좋지만 그 보다는 높은 데미지의 무기와 어텍레이팅을 더 중요시 해야하며, 높은 방어력을 무시할 수 없답니다. 그러므로 눈여겨 볼 것은 데미지 > 공속 > 어레 > 방어력중점적으로 고려하심 되겠네요. 직접타격 계열은 스텟상 힘이 데미지로 가고, 민첩이 어레로 갑니다. 그래서 힘과 덱스가 전사에겐 필요한 것이죠.


법사는 무기데미지를 볼일이 거의 없습니다. 스킬과 패캐를 가장 중요시 봐야하지요. 한번 더 공격할려면 패캐가 중요하겠고, 데미지를 끌어 올리려면 높은 수치의 스킬이 필요합니다. 스텟중에 힘이나 민첩도 어찌보면 아이템 착용을 위한 정도 뿐이죠.


전사나 법사나 같이 봐야할 건~ ‘3가지’가 있습니다. 1. 라이프(피) 입니다. 피가 낮으면 할 수 있는 건 죽는 것 밖에 없지요. 2. 레지스트(최대 75%, 한계치 95%)도 신경을 써야 하구요. 높은 스킬로 원소공격에 당할 경우, 피가 높아도 그 데미지를 다 받으면 상당히 높은 피가 깎입니다. 레지가 75%라면? 100의 데미지에 25만 피해를 받으니 피 다음으로 신경써줘야 될 부분이죠. 3. 물리공격 데미지 리듀스(최대 50%), 물리공격에 의한 데미지도 완화시켜 줘야 합니다. 리듀스를 맞추어 주면, 물리공격에 의한 데미지가 100 이라고 가정하면 데미지에 반인 50까지만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것입니다.



아래 케릭터별 스킬은 선행스킬(길목, 어쩔수 없이 올려야 되는 스킬) 1개는 제외하고 적었어요.(많으면 햇갈리죠. 그쵸?) 스킬의 일반적인 형태로 적었을 뿐, 절대성은 없으나, 모르시는 분들의 선택이나 판단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무척대고 왜 이렇게 찍냐? 이런 말씀을 하시면 길잡이란 말밖에 드릴 말밖엔 없군요. 키워보고 적은 것이니 부담없이 따라해보셔도 괞찬으실 겁니다.




□ 바바리안 :

칼바바 - 소드마스터리 20, 인크리즈 스테미나 1, 인크리즈 스피드 1, 아이언스킨 1(스킬남을시 올인), 네츄럴레지스턴스 1, 휠윈드 20, 버서크 1, 샤우트 20. 배틀오더 20, 배틀커맨더 1  전사의 기본형입니다. 꼭한번은 해보시길 추천~(상당히 무섭고 파티원의 공격시 가장 폼이나죠.)



프랜지바바 - 무기(양손가능한것만)마스터리 20, 인크리즈 스테미나 1, 인크리즈 스피드 1, 아이언스킨 1, 네츄럴레지스턴스 1, 더블스윙 20, 프랜지 1(나머지 올인), 휠윈드 1, 버서크 1, 배틀오더 20, 배틀커맨더 1, 카운트 0~20  전사의 엽기형태죠. 강하기보단 멋으로 스피드를 즐기세요.(휠윈드에 식상하면 키울만하죠) (만약 주공격을 프랜지보다 더블스윙으로 하신다면 카운트보단 베쉬를 올리시는 것이 데미지로 유리합니다.)



스로잉바바 - 스로잉마스터리 20, 인크리즈 스테미나 1, 인크리즈 스피드 1, 아이언스킨 1, 네츄럴레지스턴스 1, 더블스윙 20, (선택적 프랜지 20 이나 휠윈드 20, 무기에 따른 마스터리 1), 버서크 1, 배틀오더 20, 배틀커맨더 1  쓰바? 욕은아닙니다. 나름대로 던지는 케릭을 생각한다면 가장 잘 키울수있는 계열이죠.(이걸 키워야 우리나라에도 창던지기가 활성화... 퍽..)



임모탈바바(스피어,폴암계열 비슷) - 메이스마스터리 20(스피어나 폴암계열은 관련된 마스터리), 인크리즈 스테미나 1, 인크리즈 스피드 1, 아이언스킨 1, 네츄럴레지스턴스 1, 휠윈드 20, 버서크 1(방어는 신경을 못쓰므로, 남는스킬을 버서크에 다 투자해도 좋네요.), 배틀오더 20, 배틀커맨더 1  멋있습니다. 임모셋의 오오라가... (잘잡구요, 극강의 데미지.. 10k...를 원하는 휠윈드의 창바바라면...)



□ 아마존 :

활마(필드 듀얼전용) - 쨉 1, 닷지 1, 어보이드 20, 이베이드 20, 슬로우미사일 0~1, 발키리 0~1, 크리티컬스트라이크 10, 패넌트레이트 1(멀티를 견재로 쓴다면 10, 멀티를 안쓰면 크리티컬에 올인), 피어싱 1, 멀티샷 1(견재용으로 쓴다면 10), 가이드 20, 남는 것은 크리티컬에 투자를 하세요.(피어싱은 듀얼엔 거의 필요가 없어요. 몹잡는 용도도 아니거든요.)  필드의 맛이죠! 활땡기며 블록하며 컨트롤을 아는분만 키우세요. 어렵죠 키우기...



퓨전마 - 쨉 1, 라이트닝퓨리 20, 닷지 1, 어보이드 1, 이베이드 1, 슬로우미사일 0~1, 크리티컬스트라이크 10, 패넌트레이트 10, 피어싱 1, 멀티샷 20, 가이드 20, (더 스킬이 남을시는 부족한 크리티컬 만땅이나, 회피삼형제를 50%될때까지 맟추거나 2개중 선택하심 됩니다.)   무서울게 없는 다목적 아마, 어디든 강하다, 듀얼은 힘들당~



독(재벌)마 - 쨉 1, 포이즌재벌린 20, 플러그재벌린 20, 라이트닝퓨리 20(가이드와 퓨리중 선택이지만 가이드보다 재벌스킬에 올인하므로 퓨리가 더 유리해요. 또 패시브계열은 스킬주기가 힘들거든요.), 닷지 1, 어보이드 1, 이베이드 1, 슬로우미사일 0~1, 크리티컬스트라이크 1, 패넌트레이트 1, 피어싱 1, 가이드 20(남는거 모두, 그래도 아마존인데... 가이드 없음 시체죠!)  포이즌재벌린 맞으면 피1이 됩니다.(퓨전마의 변형)



퓨리마 - 쨉 1, 파워스트라이크 20, 라이트닝볼트 1~20(이건 스킬부족으로 포기), 차지스트라이크 20, 라이트닝스트라이크 20, 라이트닝퓨리 20, 닷지 1, 어보이드 1, 이베이드 1, 슬로우미사일 0~1, 크리티컬스트라이크 1, 패넌트레이트 1, 피어싱 1, 가이드 1~20(스킬 남는다면 투자, 가능할련지...)  카우방의 황후!



□ 소서리스 :

오브썬더소소 - 아이스볼트 1~20(남는거 다 투자), 프로즌오브 20, 콜마 20, 썬더스톰 20, 라마 20, 윔즈 1, 스테틱필드 1, 텔레포트 1  예전에 멋있었지만, 버스용이 된 케릭, 우숩게 듀얼걸다간 코피날수도...(초보자용)



파볼(메테오)소소 - 프로즌오브 20, 콜마 1, 파이어볼트 20(랩업도 생각한다면 오브올린후 나머지 올인), 파이어볼 20, 메테오 20, 파마 20, 윔즈 1, 스테틱필드 1, 텔레포트 1  가끔 쌈박질도하고, 랩업도 하고 앵벌도하구... 허나 무서운 케릭은 아님



블리자드소소 - 아이스볼트 20, 아이스블레스트 1~20(남는거 다투자), 글레이셜스파이크 20, 블리자드 20, 프로즌오브 1, 콜마 20, 윔즈 1, 스테틱필드 1, 텔레포트 1  참으로 극강의 데미지지만, 이뮨나오면 컥, 이뮨이 아니라도 안맞으면...gg



오브노바소소 - 프로즌오브 20, 콜마 20, 노바 20, 썬더스톰 20(남는거 투자), 라마 20, 윔즈 1, 스테틱필드 1, 텔레포트 1, 에너지쉴드 1  예전의 카우방대장(지금은 나이트 카우방 zz) 때로는 라이트닝의 데미지도 노바의 시너지로 한목(쬐금)합니다. 전 아직도 라이트닝 참발로 인해 버스대장하고 있습니다.



□ 팔라딘 :

햄머딘 - 블러시드에임 20, 비거 20, 블러시드햄머 20, 홀리쉴드 1, 컨센트레이션 20, 메디테이션 1(이유는 마나가 부족시...), 질1(안죽으면 열받으니 1개스킬로 죽이세요)(햄피딘의 경우는 비거나 블러시드에임 중 1개를 포기하고, 홀리쇼크 20, 피스트오브해픈을 1개 주시면 됩니다.말이 필요없이 데미지의 지존이죠. 수수깨끼만 있음 천하무적(컨트롤이 관건)



슴차딘 - 스마이트 20, 차지 20, 홀리쉴드 20, 파낙시즘 20, 비거 20(남는스킬 올인), 질1(랩업시 유용합니다.)(슴질딘은 같은 근접전이라 잘 안키웁니다.우버(클론)디아 사냥꾼~(20초안에 죽이죠^^)



슴피딘 - 피스트오브해픈 1(남는거 올인), 스마이트 20, 홀리쉴드 20, 파낙 20, 홀리쇼크 20, 컨빅션 0~1(아이템에 스킬있음 안올려도 되죠, 컨빅싸움은 더 높은스킬이 낮은스킬을 뭉개버립니다.전천후 듀얼용



피스트딘 - 피스트오브해픈 20, 홀리쉴드 1(남는것 올인), 홀리쇼크 20, 컨빅션 20, 메디테이션 1, (피차딘의 경우는 남는 스킬을 홀쉴대신 차지와 파낙에 투자를 합니다. 파낙을 버릴 경우는 홀리쇼크를 키고 차지를 쓰기도 하죠.)  듀얼시 라이트닝 흡수를 못하면 피가쫙쫙 달아요.



질딘 - 세크리파이 20, 질 20, 홀리쉴드 20, 파낙 20, 디파이언스 1(남는거 다 올인)   전사중에 가장 단순한 것이죠. 우숩다고 난타전하면 데미지에 놀라죠.



질차딘 - 세크리파이 20(남는거 올인), 질 1, 차지 20, 홀리쉴드 1(그래도 남으면... 줄 스킬이죠.), 비거 20, 마이트 20, 파낙 20  한방을 원한다면 극차지가 최상이죠. (영화속의 원수랑 1:1 한끝차이 칼싸움이라고나 할까요?)



쇽플딘 - 질 1~5, 벤젠스 1, 홀리쉴드 1, 홀리프리즈 20, 홀리쇼크 20, 레지스트콜드 20, 레지스트라이트닝 20, 설베이션 1(남는거 올인)  키워보고 놀란건 레지가 좋다는 것밖에~!



☆ 피차딘 -피스트오브해픈 1, 차지 20, 홀리쉴드 1, 홀리쇼크 20, 마이트 20, 컨빅션 0~1, 비거 20  (질을 잘 안쓴다면, 차지딘의 시너지상 파낙보단 마이트가 좋습니다. 피스트보다 홀리쇼크가 시너지땜시 먼저 마스터를 하는 것이구요. 남는 스킬은 피스트/컨빅션중 선택이죠.)  법사 상대로 쓸만한 계열이죠...



□ 네크로맨서 :

뼈넥(본넥) - 티쓰 20, 본스피어 20, 본스프릿 20, 본아머 1(나머지 올인), 본월 20, 본프리즌 0(본위브 신발의 시너지를 이용)  뼈 한두방에 골로 보내죠.(현제 듀얼의 최강입니다.)



독넥(포이즌노바넥) - 포이즌대거 20, 포이즌익스프로즌 20, 포이즌노바 20, 본아머 1, 본월 1(나머지 올인), 본스피어 20, 로우어레지 1, 본프리즌 0(신발의 시너지를 이용, 본스피어의 시너지)  한번공격 후 기달리면 적은 라이프 1 이랍니다.



조폭넥(깡패넥,소환넥) - 스켈마스터리 20, 레이즈스켈레톤 20, 레이즈스켈레톤메이지 20, 리바이브 1, 서몬레지스트 1, 파이어골램 1, 본아머 1, 본월 1(나머지 올인), 본스피어 20(선택사양, 다 올리든 아예 안올리든), 본프리즌 0(신발의 시너지를 이용)  스킬 40이 넘고 용병과 함께하면 진짜 왕이된 느낌이죠. 바알과 1:50 음... 쪽수로 승리^^



□ 어쎄신 :

드탈씬(쉐도우계열) -드레곤탈론 20, 드레곤플라이트 1(남으면 올인), 베놈 20, 쉐도우마스터 20, 마인드블라스트 20 (드탈과 병행하는 드탈트랩씬은 드탈20과 드플1빼고 나머진 라센시너지로 갑니다.)  법사잡는 암살자~



드테씬 - 타이거스트라이크 20, 드레곤테일 20, 드레곤플레이트 1, 클로우마스터리 1~20(차지가 잘안되면 20개구요 아니면 1개만), 버스트오브스피드 1~10 (속업이나 달려가 맞춰지면 1개 아니면 10개정도죠), 남는스킬1개는 드플, 베놈, 쉐마, 마블중 선택이죠.  디아블로2 최고의 파뎀 75K가 킥에서 나오죠.



피닉씬 - 피스트오브파이어 20, 클로우어브선더 20, 블레이드오브아이스 20, 피닉스스트라이크 20, 드레곤플라이트 1, 클마 1~20(클마와 피스트3종 계열중 한개를 포기해야죠), 버스트오브스피드 1, 베놈 0~1, 쉐도우마스터 0~1, 마인드블라스트 1  원소데미지로 가격하는 재미가 솔솔~ 그러나 좀 힘든타입중 하나죠.



트랩씬 - 파블 1(파블20과 차센20 둘중한개 선택), 쇼크웹 20, 차지드볼트센트리 20, 라이트닝센트리 20, 데쓰센트리 20, 웨이크어브파이어 1(듀얼용), 마인드블라스트 1(견재용), 쉐도우마스터 0~1(몸빵용), 드레곤플레이트 0~1(듀얼시 달라붙기용)  파블선택시 원소이뮨에 강하고, 차센선택시 라센데미지가 좋겠죠. 가끔 듀얼판에서 한가닥하죠.



☆ 혼돈씬(아이템케릭) - 드레곤플라이트 1(듀얼시 달라붙기용), 클러마스터리 20, 버스트오브스피드 1, 페이드 1~20, 베놈 20, 웨폰블럭 20, 쉐도우마스터 1, 마인드블라스트 1~20(남는 것 올인), 라이트닝센트리 0~1, 웨이크오브파이어 0~1 ~>  이놈은 친구걸로 해봤지만 제걸론 안해봤어요. 그 녀석이 아이템을 안빌려줍니다. <키우진 않아서 참고로 적었어요.>



□ 드루이드 :

늑드루(퓨리) - 라이칸트로피(변신술) 20, 워울프 20, 피어럴레이지 1, 퓨리 20, 싸이클론아머 1, 하트오브울버린(데미지오오라) 20  드루이드의 기본 공격형이죠. 어레가 쓸만해 잘맞추더군요.



곰드루(마울) - 라이칸트로피(변신술) 20, 워울프 1, 워베어 20, 마울 20, 쇼크웨이브 1, 싸이클론아머 1, 하트오브울버린(데미지오오라, 가끔 오크세이지로 피오오라를 쓰는 분들도 있어요.) 20  피통이 좋아 할만합니다.



불곰드루(파이어클로우) - 파이어스톰 20, 몰튼보울트 20, 피셔 20, 볼케이노 20, 파이어클로우 20, 오크세이지 1 (파이어스톰/몰튼보울트/피셔/볼케이노 4가지중 한개는 나중에 올려야죠. 이유야 완성랩이 높거든요파이어 엘리마법을 쓰다가, 곰이나 늑대로 변신해서 파뎀의 공격을 하는 엽기형이죠. 파이어 이뮨만 아니면 괞찬더군요.



엘리드루(콜드계열) - 사이클론아머 20, 트위스터 20, 토네이도 20, 허리케인 20, 오크세이지 1, (레이번/서몬스프리트울프/서몬다이어울프/서몬그리즐리 4개는 보호망으로 1개스킬로 듀얼시 쓰기도 합니다.3색원소에 저항력이 좋죠. 콜드 법사계열이며, 토네이도는 물리데미지까징~, 수수께끼만 있음 무서운 케릭중 하나죠.



소환드루 - 사이클론아머 1, 서몬스프리트울프 20, 서몬다이어울프 20, 서몬그리즐리 20, 오크세이지 20(하트오브울버린도 가능)  이 녀석은 특별합니다. 새월아~내월아~ 몬스터 죽입니다. 답답하니 드루이드도 같이 싸워야 하죠.






■ 스텟(능력치)의 분배


□ 맞장형 (공격)

~~~> 아이템이 정말 좋다면... 추천

주로 최대의 대미지를 실현하는 전사(바바의 창계열 양손무기 휠윈드, 팔라의 극차지, 어쎄신의 킥, 아마존의 가이드 등) 케릭터들이 극강의 데미지로 만들기 위해 나타났죠.(방어에 극히 약한 모습을 하니 최고의 케릭이 아니면 추천은 힘듭니다.)


- 남는거 모두 다~~~!(올인 All-in)

민첩 - 아이템 착용을 위한 최소의 수치로.(단, 아마존은 힘대신 민첩에 올인입니다. 던지거나 쏘는 계열은 민첩에 영향을 받아요.)

- 800~1000 은 되야죠(그래야 한방에 안죽습니다. 아이템 착용후의 모습으로죠.)

마나 - 올리면 답이 없습니다.(No) 올리지 않습니다.(링이나 아뮬 등에서 스틸을 해야죠.)




□ 블록형 (방어)

~~~> 저는 이거 추천합니다.(전사전에 좋구, 랩업에도 안정적이죠.)

안정적인 케릭을 원하는 분들로, 듀얼이나 일반 케릭터들이 선호하는 타입이죠.

이 타입은 물리데미지를 가하는 전사들(바바의 휠윈드, 아마존의 가이드, 팔라의 질,차지)로부터 블럭률을 향상시키고, 리듀스(50%)를 맞추어 직접 타격에 의한 생명을 보존할 목적으로 하는 형태죠.


- 전사라면 아이템 착용치까지만, 법사라면 모너크일때 리콰를 한 133의 힘은 찍죠.(아이템의 힘 합산한 값으로요.)

민첩 - 블록률 75%가 될 때까지 찍습니다. 스텟창(‘a'누르면 스텟창이 나오고 거기서 방어를 보면 %가 보입니다. 방어확률 어쩌구 저쩌구~)에 보면 나옵니다.(모너크 방패라면 바바의 경우 랩99일때 222 민첩이 소요되구요. 케릭마다 모너크를 들 경우 최고 방어수치가 다릅니다. 그래서 덱스를 더올리던 블록률을 상승 시키던 해야죠.) (팔라의 홀쉴이 있으면 상당히 낮춰질수 있구요. 어쎄의 쌍클이라면 스킬만 영향을 받지 덱스는 아이템 요구차만 필요하죠.)

- 남는거 모두 다~~~! (올인 All-in),대략 1000~1500 정도 되겠죠.(바바처럼 응애응애~ 울면 2000~3000 정도 나오구요. 콜투암의 힘)

마나 - 소서나 네크도 안찍습니다. 아이템으로 해결하시길...(소서도 아이템발로 800~1200 정도 나올수 있습니다. 영 무리라면 마나많이 쓰는 법사는 약간 올리시길...)




□ 피통형 (몸빵)

~~~> 저는 이거 듀얼시 할만하더군요.(법사계열과 싸울시 좋아요)

방어보다는 한방이라도 더 맞으며 버티겠다는 타입의 칠전팔기의 요즘 유행하는 타입이죠.

이 타입은 요즘들어 성행하는 마법스킬(법사들의 어마어마한 데미지)의 압박이나, 매직데미지(팔라의 햄머, 네크의 뼈공격) 등에 한번에 눕지 않고 버틸려는 피의 케릭이죠.(대 법사전)


- 아이템 요구치까지만,

민첩 - 아이템 요구치까지만,

- 남는거 모두 다~~~! (올인 All-in)

마나 - 소서나 네크도 안찍습니다. 아이템으로 해결






■ 아이템의 착용


- 케릭터들 마다 무기, 방어구, 악세사리(링,아뮬), 차암(부적) 등을 통하여 케릭터의 능력치를 추가하게 됩니다. 법사계열캐스팅과 스킬, 전사계열방어력과 물리데미지를 추구하게 되어 있습니다. 잘 잡는다는 소릴 듣는 것은 잘 싸운다는 것으로 역 해석되죠.(잘 잡는게 대부분 잘키웠다는 것으로...)


- 아래에 케릭터별로 일반적인 아이템 셋팅을 볼까요? (유닉, 셋트, 레어, 매직, 크랩) 보시면 느껴지실 겁니다. 다 좋은건 아니고, 케릭마다 좋다고 보는 것은 약간씩 다릅니다. 때에 따라선 매직이 더좋고, 때에 따라 레어가 좋기도, 유닉이 좋기도 합니다. 제 주관적인 기준이니 절대성은 없어요. 허나, 일반적인 셋팅으로 기준이 없는 분에겐 좋은 선택의 폭으로 보일 겁니다.)



아래의 아이템들은 좀 직접 찾아 보시는게 좋습니다. 방대한 내용이라 일일이 설명은 힘들거든요. 케릭마다 각각에 좋은 것 들을 적은 것 뿐이니깐요. 아래 것들보다 더좋은 아이템들도 있습니다만, 예로 수수께기 룬워드갑옷, 콜투암 함성용무기, 독케릭의 검은딸기 같은건 일반 유저들이 사용하기엔 무리인 아이템 들이죠. 적힌 것 중에 고가의 아이템도 있긴 하지만, 이건 난감~~~ 또, 빠진 것도 있긴 하구요. 기억력의 문제... 뜨아~~~


스스로 찾아 보실수도 있죠. 조합된 크래프트 아이템이나 줏거나, 돌려서 나온 레어, 잘돌리거나 상점에서 구입한 매직도 있습니다. 특히나 잘붙은 써클이나 아뮬은 황금의 아이템이상 가치가 나갈수도 있어요. 모를 수도 있지만, 자세히 보면 좋은 것을 구별하겠죠.



전사무기의 데미지가 높은 것이 좋구요, 물리리듀스(최대 50%)의 아이템을 착용하고, 방어력이 좋은 형태가 대부분이죠. (공속-한대라도 더어레-빚맞지 않을려면도 신경을 써야되구요. 이건 작업을 해야죠.)

(인벤토리엔 데미지를 높히는 멕뎀에 피옵션, 멕뎀에 힘이나 덱스, 패힛이 붙은것을 넣겟죠. 레지나 피가 딸리면 이런것을 넣을수도 있구요. 달려가 중요한 케릭에겐 달리기도 있을수 있구요. 직접공격이지만, 데미지가 낮은형이라면 원소데미지 참을 넣기도 하구요. 또한, 자세히 보면 전사지만 스킬에 의존하는 케릭도 있거든요.)


법사스킬의 아이템이 대부분이고, 캐스팅(마법속도)을 위주로 셋팅을 합니다. 스킬 아이템은 대부분 방어력이 낮습니다. 직접공격이 아니니 그렇겠죠. (마나도 약간 신경에 거슬린 답니다. 법사의 대부분 피통이 낮아서 레지도 안볼 수 없구요.)

(인벤토리엔 주요공격 스킬참을 다 넣겠죠, 피옵션이나 힘, 덱스가 붙으면 더 좋겠구요. 부족하면 패힛이나 레지를 넣어두기도, 그냥 피나 마나참을 넣기도 합니다. 무조건적 스킬보다는 부족한 것을 매우는 것이 더 좋은 방법입니다.)


전사와 법사 섞인형은 이 두가지를 잘 조합해서 키우기에, 좀 까다로운 경향이 있구요.


(모든 케릭들의 피와 레지는 기본적으로 중시해야, 헬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패힛이라고해서 맞고 재자리를 찾는것도 어느 정도는 고려를 하셔야 되구요. 디펜방어는 높으면 좋지만 전사가 아니면 좀 낮은 건 극복을 하셔야 되겠죠. 블럭률은 위 3가지 타입중 선택적이니, 피와 블럭 요 두가지중 한가지는 소홀해 질 수 밖에 없답니다. 또 하나 케릭터 전용무기는 빠질게 없는 옵션들로만 있답니다. 아주 좋은거 아니면 전용아이템을 쓰세요.)




■ 케릭터별 아이템 착용에 유리한 장비

색상별로 - 유닉, 셋트, 레어, 매직, 크랩

케릭터

무기

방패

투구

갑옷

밸트

장갑

신발

목걸이

바바리안

콜블,콜소,발록매직, 할배,라세,발록퓨리,죽숨,킹슬,정의의손길(룬워드)

모너크

매직, 슬레이어가드,대표의원(룬워드)

발록스킨,용맹한자(룬워드)

미스릴코일,데몬새시

오우거,뱀파,강타크랩,국템레어

고어라이더,배틀,국템레어

국템레어,크랩,엔젤아뮬

국템듀얼링,크랩,엔젤링

아마존

매직메추리,그레이트, 윈포,헬렉,발리,이글혼,타이탄

모너크

샤코,레어써클(2스킬,30달려,7피스틸)

메쉬아머,증속갑,증속피갑

뱀파,레이져테일,미스릴,데몬새시,썬더갓

20속 레어,20속 강타크랩,20속 3스킬매직

배틀,국템레어

캐츠아이,크랩,국템레어

국템듀얼링,크랩,레이븐

소서리스

매직, 샤드,신오브,앨드리치,위저드

그림쉴드,모너크

샤코,써클

소서교복(하복Serpentskin Armor,동복Mage Plate)

스파이더웹,매쉬,국템레어

프먼,메이지피스트

매쉬,국템레어

마라,패캐크랩,국템패캐레어

조던,국템패캐레어

팔라딘

3전투매직, 마이트셉터,캐듀,버서크액스,위저드,침묵,오크심장,파멸,기근(룬워드)

3전투 매직, 자카룸,모너크,레어팔라전용,망명(룬워드)

써클,샤코

메쉬아머,팔라교복,증속피갑,퓨전갑

스파이더웹,미스릴코일,국템레어

오우거,뱀파,20속 강타크랩

고어라이더,국템레어

하이로드.마라,크랩,국템레어

발카,조던,크랩,국템레어

네크로멘서

매직완드, 리치완드,데스웹,위저드,화이트(룬워드)

매직술병, 그림쉴드,호우먼,써큐버스스컬,모너크

3본매직써클,샤코

소서교복,메쉬아머

스파이더웹,국템레어

프먼,메이지피스트,트랑

국템레어

마라,크랩,국템패캐레어

조던,국템패캐레어

어쎄신

매직클러, 촙촙이,위저드,오크심장,퓨리,혼돈(룬워드)

그림쉴드,모너크

매직, 샤코

소서교복,발록스킨,메쉬아머

스파이더웹,미스릴코일,국템레어

프먼,메이지피스트,트랑,20속 레어,20속 강타크랩,20속 3스킬매직

국템레어,업글워부츠,쉐도우댄서

마라,패캐크랩,레어

발카,조던,크랩,국템듀얼링,국템패캐

드루이드

버서크액스,세이퍼해머,위저드,어스쉐이커,오크심장(룬워드)

그림쉴드,모너크

매직, 토테믹,대표의원(룬워드)

소서교복,발록스킨,메쉬아머

스파이더웹,미스릴코일,국템레어

프먼,메이지피스트,오우거,뱀파,강타크랩,국템레어

국템레어

마라,패캐크랩,레어

발카,조던,크랩,국템듀얼링,국템패캐

활용병

윈포,이글혼

 

그림헬름

메쉬아머,연기,용맹한자(룬워드에테)

 

 

 

 

 

창용병

쓰레셔,명예,침묵,열정,초승달(룬워드에테)

 

그림헬름

메쉬아머,스톤,연기,용맹한자(룬워드에테)

 

 

 

 

 

 

- 차암전사맥/피/어레, 원소(콜/라/파/독)데미지/어레/피 이런 것이구요. 법사주요 스킬/피, 라이프/마나 이런 것을 주로 인벤에 넣습니다.

 

너무 복잡해서 위의 의미를 이해하기 힘들다는 분이 계실겁니다.


그런 즉, 제 칼바바를 기준으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바바리안으로 적당한 힘과 블럭률을 맞추고, 나머지를 피로 올린 케릭입니다.(힘과 덱스를 너무 많이 올렸네요. ㅈㅈ) 이 케릭터는 듀얼용으로 키운것이라 랩업시는 약간 다를 수도 있겠습니다.


머! 대부분(아이템이 딸리지만 않으면) 대다수의 케릭터를 눕힙니다. 데미지와 라이프, 블럭률이 합쳐져야 케릭터다워 지는 것이죠. (차암에서 상대가 800피를 더 확보한다거나, 조드버그 에테 방어구로, 또 업글된 최상의 아이템이라면 같은 급에서도 무리가 될 수는 있죠. 그래도 확률이라 제가 이긴 적도 종종 됩니다. 자랑은 아니구요. 잘키우면 쓸만한 케릭이 된다는 것이죠. 너 그래 잘키웠다~~! 퍽! 퍽! 퍽!) 그럼 아래를 봅시다~~~!






■ 실제 키워진 바바리안 실례


바바리안 중에 듀얼을 목적으로한 칼바바로써 블럭(방어)형의 형태를 취합니다. 전사계열이겠죠. 아이템은 듀얼시의 장착된 아이템으로 올린 것 입니다. 랩업시는 라이프, 마나스틸, 레지도 신경을 써줘야 합니다. 칼도 랩업시는 다른 것을 쓰겠죠.(내구가 달면 룬워드는 비싸거든요. 배보다 배꼽이 더큽니다.)


괜히 또, 글쓰다 더 좋은것 찾다보니 못하는 그림 작업까지 했네요. (걍 어설퍼도 이해해주세요.)


 

스텟,레지

설명 바바는 아이템착용의 힘, 덱스, 그리고 남는것은 피를 다 주게되있죠. 하지만 바바라고 피가 어마어마한건 아니죠. 마나는 라이프 스틸 링이나 아뮬로 해결하면 될것이구요. 또, 레지를 높여야 강한 마법스킬로 부터 %의 비율만큼 적게 타격을 받겠죠.(가끔 흡수아이템을 착용하여 흡수하는 경우도 있답니다.) 바바의 최고의 기술인 함성을 질렀습니다. 샤우트와 배틀오더, 배틀커멘더까지 엄청난 피의 상승과 방어력이 올랐습니다. 이것이 바바의 최고기술중 하나죠.
블럭과 어레

방어에 손을 갖다대니 방어기회가 나오죠? 이것은 공격저지 공격률과 민첩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블럭률이 우선은 좋은것이 필요하겟구요. 다음은 거기에 맞춰서 민첩을 올리면 되는 것입니다.(아뮬이나 갑옷등에서 공격저지성공률을 높이는 아이템도 있긴합니다.) 휠윈드 공격등급을 주시하는 목적은 무엇일까요? 어텍레이팅이 좋아야 상대의 방어력을 뚤고 칼을 긁을수가 있겠죠. 상대의 디펜이 20000 이라면 본인도 동랩에 어레 20000 정도는 되야한다고 쉽게 보시면 됩니다.(그 이상은 연구하시길), 또한 상대의 공격으로부터 디펜스(방어)가 높다면 직접공격으로 부터 회피를 할수 있겠죠.
착용 아이템

위에서도 언급했다시피 케릭터 전용투구의 옵션을 보세요. 바바의 경우 부족한 스킬, 패힛, 공격등급(어레), 라이프스틸에 방어, 힘, 민첩, 저항력까지 정말 좋지요. 아주좋은 아이템이 아니라면 바바는 슬가를 쓰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작업은 데미지가 좋겠죠.) 예전엔 물리데미지에 의한 리듀스를 75%까지 마춰야 됬지만, 지금은 50%로 내려가서 2스킬에 디펜좋구, 패힛까지 있는 발록스킨을 전사들이 많이 이용을 합니다.(작업은 데미지가 좋겠죠.), 디펜이 높아 상대가 칼로 잘 못들어가게 만들죠.
착용 아이템

말로만 듣던 원한(퓨리, 룬워드)검 입니다. 3소켓에 만드는 것이라, 데미지가 월등한 엘리트 계열의 발록브레이드에 만들죠.(바바에게 한손데미지가 높답니다. 리치도 길죠.) 이것의 특징은 휠공속 -35%(한손)이 최대연타가 나오고, 생각보다 높은데미지, -25%목표타격, 어레, 라입스틸, 치명공격과 상처악화가 있어 듀얼시나 평시 최고의 바바용 무기로 통합니다. (수리비의 압박...) 매직이나 레어 무기작업시 휠공속은 무기에만 영향을 받으니 공속과 증뎀작을 하겠죠. 이건 데미지감소 15%와 패힛, 방어력, 라이프의 증가가 있어 사용을 하죠. 이만한 옵션은 없죠. 랩업시라면 데몬새쉬도 쓸만하죠.(라입스틸^^), 랩업시라면 국템도 좋구요. 다른 밸트도 쓸만합니다.
착용 아이템

전사들만 쓰는 방어구죠. 힘으로 인한 데미지 증가와 아이템의 증뎀효과 방어력까지 높죠? 최고의 강타장갑이 아니라면 이것만 못하겠죠?

이것이 아니라도 뱀파장 같은것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신발은 달리기 속도가 붙어야죠. 디펜도 좋아야 하구요. 거기에 강타,치명공격,상처악화 듀얼시는 최고죠. 랩업시는 국아이템이 더 좋습니다.(달려/패힛/스텟/레지 가 있거든요.)
착용 아이템

엔젤링 이것이 머가 특별하냐구요? 저랩때나 나온다고 착각을 하실수도 있으나 아닙니다. 어텍레이팅을 보시면 느껴지죠. 사기였넹... 이럭게요. 엔젤이 있어 바바가 듀얼시 칼이 잘들어가는 것이죠. 엔젤링과 아뮬을 착용하면 추가옵션으로 어레가 붙죠. 엔젤링을 쌍으로차면 16000 정도의 어레가 확보된다는??? 말이 있죠.

랩업시는 국템 듀얼링이 더 좋아요.(듀얼링은 라입스틸/마나스틸/어레/스텟/레지 이런것이 있어요.)

말이 필요없습니다. 공격저지성공률이 72%까지 되는군요. (최상이 75%지만) 공격저지성공률이 높을때에 민첩을 적게 투자해도 되죠. 바바라면 랩99에 222덱스가 필요하죠.(방어확률 75%가 될려면요.) 또 물리데미지 리듀스 35%(밸트와 방패 합이 50%가 딱되죠.)까지, 거기다 빠른방어,방어력,힘,레지 최고의 방패로 군립합니다. 다만 힘제가 높아 바바말고는 리콰작업을 하죠.(바바라면 증뎀작 추천)

없으면 없는대로 그냥 쌍패 붙은 방패를 써도 큰 지장은 없네요.

함성칼,그랜드참

이건 함성칼 입니다. 머하러 가지고 다니냐구요? 처음 함성지를때 양쪽에 차고 울면 +6스킬의 효과를 보죠. 배틀오더 6스킬이면...(처음 울때 스왑용으로 사용하죠.)

상점에서 팔거든요. 3시간 뒤져보세요.(헬이 유리하죠.)

바바가 인벤토리에 능력을 올려줄 차암(부적)을 무엇을 가지고 있어야 할까요? 데미지란 느낌을 받으실 겁니다. 데미지와 어텍레이팅이 있어, 스킬참보다 더 좋은 효과를 봅니다. 선택은 딴것이 없겠죠?

스몰,그랜드참

이건 스몰참이군요. 레지와 피가 된다면 맥/어레참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3맥/20어레/20피 요런건 좀 고급아이템이라 적당한 것을 쓰세요. 부족한 패힛이나 레지, 달리기, 스텟 등이 있다면 맥참보다 부족한것을 확보하는 것이 진정한 프로죠? 위와 같은 맥/어레/피 참입니다. 최고품은 솔찍히 잘안나옵니다. 능력되는대로 가지고 다니시면 좋습니다. 역시나 패힛, 부족한 스텟이 붙었다면 부족한 것을 매우는게 더 좋습니다.

 

그럭저럭 내용을 역어 봤네요. 예문을 많이 만들고 국아이템 레어가 먼지, 크래프트는 먼지, 케릭에게 좋은 옵션은 무엇인지, 공속과 패힛, 패캐는 어떻게 작용하는지 까지 말씀해 드리면 좋겠지만, 그것은 좀 광범위 하네요.(칼바바 한가지만 스텟과 아이템을 보여 드렸으니, 다른 케릭도 무언가 생각 되시는 것이 있을 것이라 봅니다.)


스텟과 스킬을 개략적으로 적어서 더 햇갈려요... 그럴 분들도 계시지만, 생각보다 자세히 적어놓은 것 입니다. 스텟치와 스킬이 왜 이렇게 하는구나 이해를 하신다면 답이 나오실 겁니다. (연구의 생활화, 호기심의 실천~)


경험해본 실례를 들어 설명을 해 봤구요. 다 키워보니 이런 타입엔 이런 것이 유리하더라... 하는 체감을 적은 것이니, 다른 분들 키우실때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따로 컨닝한 건 없지만, 여기 저기 글도 읽어보고, 비슷하게 따라도 해보고 하니 아무래도 비슷한 부분이 많을 수도 있습니다. (이점은 양해를 바라구요.) 저도 첨엔 배우면서 했었으니까요. 다만 종합편 한번 해볼려구 올려봤습니다.


좋은 참고말씀 주시면 수정할건 수정을 해야겠네요.

(1차 스킬트리 수정, 2차 오타 수정 및 표 작성, 3차 그림 삽입, 4차 글씨체 변경)



2009. 8. 27. 13:23

 

 

 

 

 

블리즈컨 2009의 개막식에서 블리자드는 디아블로3의  네번째 플레이 가능 직업으로 비할데 없이 민첩하고

숙련된 무예를 자랑하는 성스러운 전사,수도사를 공개했습니다.

 

일명 몽크라고 불리는 직업인듯 합니다.

 

"디아블로3 개발자 제이윌슨은 “캐릭터의 콤보 스킬을 어떻게 하면 잘 접목시킬지 많이 고민했다.”며 수도사에 대한 설명을 시작했다."

 

기사내용에 따르면 수도사는 콤보스킬을 쓰는 몸빵 케릭터인듯하네요

 

디아블로 3

참으로 기대되는 게임입니다....

어떤게임을 해봐도 결국은 디아블로로 돌아가게 되는 나를 보게 되더군요............

 

블리자드사가  이번에도 잘 만들어서 많은 유저들을 만족시켜주면 좋겠네요.

 

 

수도사 직업소개 동영상

http://kr.blizzard.com/diablo3/media/movies/monk.xml

 

수도사 직업 스킬및 설명

http://kr.blizzard.com/diablo3/characters/monk.xml

 

디아블로3 홈페이지

http://kr.blizzard.com/diablo3/index.xml



2009. 8. 27. 13:22

우리가 잘 알지 못하거나 잘못 알고 있는 디아 상식들




0. 뭘 이야기 하고 싶은건가.
1. Increased Attact Speed(IAS,공속) & Fast Cast Rate(패캐)
2. Fast Hit Recovery(패힛) & Fast Block Rate(패블럭)
3. 누적 레지
4. Attack rating(어레) & Blocking
5. Walking/Run Speed
6. Replenish life(라잎 재생) & Regerneration Mana(리젠 마나)
7. 각종 자료
8. 끝 맺으며

0. 뭘 이야기 하고 싶은건가.
디아2 초창기부터 게임을 했었죠. 남들 자주 당했다는 계정 도둑질도 당했었고 그덕에 유럽서버에서 아시아2로 이사도 오게되었습니다. 몇번의 패치가 있었고 많은 시간들이 흘렀죠. 그런데 게임을 하다가 만난사람들과 이런 저런 이야기들을 하다보면 의외로 디아 시스템 자체를 아직도 잘 모르고 하는구나.. 라고 생각들 정도로 많은 이들이 단지 클라이언트(디아블로를 실행 하는 우리 컴터겠죠)화면에서 발생하는 결과만 보고 겜을 하는듯 하는 생각이 들어 그다지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이런글을 한번 남겨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래의 글들은 이미 잘 알고 계시는 분을 위한것이 아니고 디아 시스템 자체에 대해 관심없이 게임을 하시는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주요 내용들은 아리앗 서밋( http://www.battle.net/diablo2exp/ )과 필라드 사람인 Tommi라는 분의 데이터( http://www.hut.fi/~tgustafs/ )를 참고 하였습니다. 각 내용들은 목차와 같은 순서로 진행이 되겠습니다. 모든 내용은 피케이를 고려하여 작성된것이기때문에 왜 이런 이야기들을 하는지에 대해 너무 의문을 가지진 마시길. 이후의 내용에서 프레임이란 단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프레임이란 모니터에서 동작 하나 하나를 묘사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25프레임은 1초입니다. 즉 1프레임은 0.04초입니다.

1. Increased Attact Speed(IAS,공속) & Fast Cast Rate(패캐)
공속 프레임과 패케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런 내용을 다루는 이유는 이들의 패턴입니다. 공격이든 마법공격이든 그 형태는 모두 선 딜레이 후 공격입니다. 어떤 행동을 취하기 위해선 우선 공속 프레임이나 패케 프레임만큼의 딜레이가 끝나야만 완벽한 효과가 발생합니다. 가령 텔레포트의 경우 소소가 10프레임의 패케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 소소가 텔레포트를 하기 위해선 최소한 10프레임을 소비한 다음에서야 텔레포트가 된다는 이야기죠. 만일 이 10프레임 동안(손을 들어올리는 동작이죠.) 아마존의 화살을 맞았다고 치면 텔레 모션은 취소가 되고 얻어맞을것인지 블럭을 할것인지 하는 루틴으로 빠져 버린다는겁니다. 따라서 10프레임 소소가 텔레를 하려하는데 8프레임의 공속을 가진 아마존이 옆에서 활을 계속 날리면 이 소소는 절대 텔레포트로 이동할수 없는 사태가 벌어집니다. 왜냐하면 소소는 10프레임이 지난 후에나 텔레를 할수 있지만 아마존은 8프레임만 지나면 다시 활을 쏠수가 있는것이기 때문에  서버장애나 인터넷 장애가 없는 이상 절대로 한번 맞기 시작한 화살을 텔레로 피할수는 없는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 언급과 관계가 없는 모션이 몇몇 있습니다. 차지나 훨윈드의 경우가 이런경우라고 할수 있습니다. 차지나 훨의 경우 연속된 동작으로서 차지나 훨이 시작할 시점부터 바로 공격이 진행되고 그걸 다시 시전할수 있는 딜레이만 있는것입니다. 이의 중요성은 나중에 패힛부분에서 다시 연관지어 설명 하겠습니다.

2. Fast Hit Recovery(패힛) & Fast Block Rate(패블럭)
일반적으로 피케이 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잘 모르고 있는 부분이 이부분인듯 합니다. 앞서의 공속과 패케가 한공격을 완성하기 위한 먼저 가지는 딜레이라고 생각한다면 패힛과 패블럭은 일단 맞았을때 다음 행동을 취하기 위한 딜레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공격을 당했을때 캐릭터는 둘중 하나의 형태를 취하는데 방패로 블럭을 하느냐 얻어맞느냐죠.

패힛은 공격 당한자가 자기 피통값의 1/12 이상의 댐지를 얻어맞으면 허리가 꺽이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 허리 꺽임이 얼마나 유지 되느냐 하는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시간이 길수록 허리꺽이는 동안 캐릭터는 아무런 동작을 취할수 없기때문에 피케이 하는 캐릭은 이 수치를 올리려고 고민을 합니다. 패블럭은 패힛과 같은 값으로 볼수 있습니다. 차이점이라면 패힛은 맞았을경우이고 패블럭은 방패로 막았을경우입니다. 보통 패블럭이 높으면 방패로 빨리 잘 막는다고 생각하시는데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블럭은 단지 캐릭터 창을 열었을때 방어에 표시 되는 수치에 의존하지 패블럭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패블럭이 높건 낮건 방패로 처음 막는 시간은 같습니다. 즉 방패로 막는상황이면 잽싸게 방패로 막아버립니다. 문제는 방패로 막은다음 방패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이 패블럭에 의해 좌우되죠. 패블럭이 낮을수록 잽싸게 방패로 막았다가 아주 천천히 방패를 풉니다. 방패 풀기전까진 패힛과 마찬가지로 캐릭터는 어떠한 동작도 취할수가 없습니다.

하나의 예를 또 들어보겠습니다. 어떤 캐릭의 패힛과 패블럭이 모두 10프레임이라고 가정합니다. 그리고 옆에서 활을 쏘는 아마존의 댐지는 항상 맞는 캐릭의 피의 1/12 이상의 댐지를 준다고 가정합니다. 그리고 이 아마존의 공속은 8프레임입니다. 자 아마존이 이 캐릭을 마우스로 찍어서 계속 쏘고 있습니다. 이상황에서 이 캐릭이 도망가려고 움직인다고 칩니다. 그럼 어떤 상황이 벌어지냐.. 방패로 막던지 얻어 맞던지 둘중 하나의 상황이 벌어지고 두 상황 모두 그 상황이 종료 되기 위해선 10프레임이란 시간을 소비 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 10프레임이 지나기전에 다른 화살이 들어오기때문에 이캐릭은 역시 서버장애나 인터넷 장애가 없는 이상 절대 움직일수 없습니다. 하지만 실제 이런 상황은 잘 안벌어지는데 그 이유는 패힛과 패블럭이 그 값을 얼마 맞추지 않아도 8프레임정도는 맞출수 있기때문입니다. 그리고 활의 경우 자기 화면에선 순서대로 차곡차곡 나가지만 상대 화면에선 2발 연속으로 나가는 경우와 같은 인터넷 문제가 자주 벌어지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제가 이야기 하고 싶은건 패힛이나 패블럭을 무조껀 얼마로 맞춰야 한다고 알고 있는 일반 적인 상황을 벗어 나라는 겁니다. 요즘 잘나가는 드루가 광패케 셋을 해도 고작 10프레임의 캐스팅이고 네크/팔라도 125패케를 했을때 고작 9프레임입니다. 아마존도 8프레임이 보통이죠. 보통 패힛을 86맞추라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이건 일반적으로 맞추기에 합당한 수치값이지 절대 유효 한 값이 아님을 알려 드립니다. 아마존의 경우 패힛 86을 맞추게 되면 5프레임입니다. 어세/바바/팔라의 경우 86패힛은 4프레임입니다. 대충 이해 하시겠지만 5프레임과 4프레임값은 약간 높게 책정된 값이라는거죠. 패힛이 아무리 높아도 실제 피케이 상황에서 별반 소용이 없는걸 몸으로 느끼신 분이 많으실껍니다. 이 이유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요즘 잘나가는 팔라와 드루전을 고려 해보겠습니다. 팔라는 80패케(10프레임)프레임의 캐스팅에 86패힛(4프레임)세팅입니다. 드루는 100패케(11프레임)에  위저드 들고 86패힛(6프레임)입니다.
가만 있는 팔라를 드루가 텔레 해서 찍은다음 토네이도를 줄기차게 쏜다고 가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억억하다 죽어버리죠?
드루는 11프레임으로 공격을 합니다. 첫방을 자기가 찍고 들어가서 쐈음으로 다음 공격할때 까지 11프레임을 기다려야 합니다. 그런데 팔라가 텔레로 도망가려 합니다.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요.. 팔라는 멍하게 있다가 먼저 맞았음으로 패힛 4프레임을 기다려야 다음 행동을 할수 있습니다. 허리꺽이는거 풀리고나서도 드루의 토네이도는 아직 안들어오고 있습니다. 이상황에서 텔레를 하려면 10프레임을 다시 기다려야만 텔레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10프레임이 지나버리면 총 14프레임으로서 드루의 두번째 토네이도에 벌써 맞아버리는 상황이됩니다. 따라서 텔레 하지 못하고 다시 허리가 꺽여 버립니다. 이렇게 하다가 죽어버리는거죠. 그런데 한대맞았을때 텔레를 하지 않고 뛰어 나가던지 차지로 나가면 어찌 될까요? 단지 4프레임만 소비하고 바로 나가버리는겁니다. 따라서 드루의 두번째 공격을 당하지 않는거죠. 아무리 패힛이 만땅이어서 1프레임을 소모 한다해도 75패케의 팔라는 총 11프레임으로써 드루 패케랑 같아짐으로 텔레로 빠져 나가기엔 좋은 방법이 아니라 할수 있습니다. 여기서 강조 하고 싶은것은 패힛은 상대 패케보다만 빠르면 되며, 일단 얻어맞았을때 캐스팅이나 마짱(그게 물리공격이던 캐스팅 공격이던)을 하는건 합리적이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먼저맞으면 위의 예처럼 자기 공격할 시간이 없어지는거죠. 공속에서 잠시 언급한 차지나 훨이 여기에 유용한 이유가 됩니다. 차지나 훨은 한번 시전시 바로 동작이 이루어지기때문에 딜레이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차지를 못쓰는 캐릭이라면 달려야죠.

반대로 드루가 멍하니 있을때 팔라가 찍고 들어가서 먼저 공격해도 상황은 같습니다. 드루의 경우는 얻어맞고나서 텔레를 하던 공격을 할려면 총 17프레임이나 소모를 합니다. 좀전의 예는 다른 조건이 하나도 없는 상황임입니다. 가령 드루의 허리케인이 있다던가, 강아지가 만땅이던가, 인터넷 장애가 있다던가, 랙이 있다는 상황등이죠.

요즘 어텍레이팅을 요구하는 공격을 하는 캐릭이 상당히 약하죠. 그래서 더 패블럭의 의미가 약해졌다고 할수 있습니다. 패블럭은 네크가 제일 약한데 그래도 모너크들면(모너크에 35패블럭이 있죠) 7프레임입니다. 아마존 8프레임공격에도 블럭하고 나서 1프레임의 여유가 있는것입니다. 하물며 전사캐릭은 모너크만 들어도 3-4패블럭 프레임을 가집니다. 여기서 문제는 아마존입니다. 아마존은 자벨린 계열을 들수 밖에 없는 캐릭이죠. 왜냐하면 아마존은 찌르는 무기를 드느냐 아닌 무기를 드느냐에 따라 패블럭이 엄청난 차이를 보입니다. 가령 아마존이 콜투를 한손에 들고 다른손에 모너크를 들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자벨이나 대거에 콜투작업 절대 안되죠?) 패블럭이 11프레임입니다. 다른 8프레임 아마가 옆에서 가이드 줄기차게 갈기면 막다가 죽을수 밖에 없습니다. 사실 이때는 맞아서 패힛 적용받아야만 빠져 나가죠. 그런데 아마존은 자벨들고 모너크 들면 무려 패블럭이 3프레임으로 줄어버립니다. 이건 쉽게 테스트 해볼수 있습니다. 상점에 가서 이상한 칼 하나 사서 자벨대신 들고 몬스터 앞에서 왔가 갔다 해보세요. 방패 얼마나 늦게 푸는지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팔라딘은 홀리 쉴드만 써도 패블럭이 0이어도 2프레임 블럭속도가 나오죠.

3. 누적 레지
누적 레지 또한 의외로 잘 알지 못하는 분들이 많으신듯 합니다.

일단 원소 댐지 얻어 맞는 절차를 살펴 보면 다음 과 같습니다
상대 편의 원소댐지 => PvP패널티(17%) => 레지에 의한 감소 => %흡수에 의한 흡수 => +흡수에 의한 흡수 =>실제 맞는 대미지

여기서 누적레지라는건 "레지에 의한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써 소서리스의 콜드 마스터리(콜드 레지깍기) 뿐 아니라 패치되면서 등장한 초승달 룬워드(라이팅 레지 깍기), 유닉 주얼에 의해 상대편의 레지를 깍기 때문에 자기가 가지고 있는 실제 레지 값이 그대로 적용 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한것입니다.
좀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어떤 캐릭이 있습니다. 그 캐릭의 캐릭창에는 콜드레지가 50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앤냐를 구출해서 얻은 30의 올레지까지 포함된 수치입니다. 그런데 어떤 소소가 콜드마스트리를 찍어서 아이템발 포함해서 200의 콜드레지를 깍는다고 칩시다. 그럼 그 소소의 공격을 받았을때 자기의 실제 레지는 어떻게 될까요?
자기 실제 레지=50-200=-150입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레지의 하한 한계는 -100입니다. 따라서 자기 실제 레지는 -100이 되며 소소가 가지는 대미지를 2배 뻥튀기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당연히 실제 소소 공격에 대하여 자기 레지를 50으로 유지 하고자 한다면 200만큼의 콜드 레지가 더 필요 한것입니다. 이것이 누적레지가 됩니다. 이렇게 200더 가지고 있으면 캐릭터 창에는 75라고 금색으로 적혀 있겠죠? 왜냐하면 최대 레지 상승하는 아이템이 없는 이상 레지의 상한가는 75이고 아이템에 의한 최대 레지 상승을 포함하면 95가 최고 입니다. 여기 까지는 많이 알고 게신 것들입니다. 제가 말하고 싶은건 무턱대고 누적 레지를 가지지 말라는 것입니다. 높으면 좋지만 효율이 떨어지는것이죠. 그리고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방에서 한번 죽으면 앤냐 구출시 얻은 30레지는 표시는 되지 않지만 실제 계산에서 사라집니다 이것을 패치전엔 썬더갓버그라고도 불렸으나 요즘은 일반적으로 앤냐 버그라고 부르죠. 마라 아줌마가 스크롤을 주면서 "너 한번 죽으면 이 효과 없어져~~~"라는 한마디를 안했기에 생기는 현상이겠죠.

그럼 누적은 얼마나 맞춰야 할까요? 여기서 말하고 싶은게 바로 이겁니다.
누적을 맞추기 위해선 흡수도 같이 알아야 할뿐 아니라, 상대방의 대미지도 알아야 합니다. 지피지기면 백전 불패라고 하죠. 적을 알아야 거기에 대응을 할수 있는 것입니다. 파이어나 라이팅 계열의 레지 깍기는 맵핵으로 충분히 알수 있으므로 굳이 알아볼필요는 없지만 콜드 마스터리나 컨빅션 오라의 정도는 심심풀이로 "님 레지 깍기가 얼마세요?"라는 식으로 알아볼 필요 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가상스킬( http://www.d2items.com/skills.php )을 주로 이용해서 상대 편이 찍을 수 있는 최대 스킬을 미리 파악해 봅니다. 가령 어떤 피딘이 피스트를 마구 갈기는데 맞으면 한방에 죽죠? 이게 컨빅때문인데 20스킬의 컨빅은 -125%의 레지를 깍아버립니다. 자기의 라이팅 레지가 75라고 우쭐해도 실제 대미지 계산에선 -50이 되어버립니다. 따라서 팔라의 피스트 댐지는 1.5배로 늘어나는게 되죠. 실제 콜드 계열 소소나 컨빅을 사용하는 팔라경우 레지 깍기가 상당하기 때문에 많은 레지가 필요 합니다. 컨빅의 경우 25스킬이상에서 -150의 레지를 깍습니다. 피스트 홀쇽, 홀리볼트 다 만땅 했을때 피스트 댐지가 대략 4300나오는군요. 자 이제 이 댐지를 썬더갓 끼고 흡수 해보고 싶네요. 그럼 세팅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래의 예는 팔라 소소 뿐 아니라 차지마 등에도 다 공통으로 들어가는 계산식이므로 일일이 언급하지 않아도 응용해서 쓰시면 되겠습니다.

a.적의 피스트 댐지 4300, 컨빅 만땅이라 레지 깍이 -150, 라이트닝 주얼 박은 최상 그리폰까지 꼈네요 . 그래서 25  라레를 덤으로 깍는군요.

b.그러면 적의 총 라이팅 레지 깍이는 -175입니다. 그런데 피딘인지 모르고 깝죽이다가 첫방에 한번 죽었습니다. 그럼 앤냐 버그에 의해 총 레지 깍인건 -205라고 할수 있습니다.

c.피케이 패널티 받은 피스트 댐지는 4300*0.17=731이네요.

d.썬더갓은 맥스 라이팅 레지 10올려주고 20의 라이팅 댐지를 "흡수"합니다. 흡수의 의미는 "대미지 무마"+"힐링"으로서 썬더갓은 20*2=40의 라이팅 댐지를 커버합니다.

e.대미지 계산 식을 다시 생각해볼까요?

최종 얻어맞는대미지=상대편 대미지*0.17(피케이 패널티)*(1-레지/100)*(1-%흡수*2/100)-(+흡수*2)
최종 얻어맞는 대미지가 음수가 나오면 이건 흡수되는 겁니다.즉 피가 차는거죠

f.자 그럼 패널티를 고려한 상대편 대미지는 731이고 우리의 썬더갓 (+20흡수*2)로 이 대미지를 흡수할려면 레지나 %흡수를 어찌 맞춰야 하나를 고려 해보죠.

경우1. 이왕 맞춘거 팔라교복까지 입고 풀레지 맞추는겨~
----  팔라교복을 입으면 라이팅 레지 95까지 올릴수 있죠. 그런데 이 95란 숫자가 유효 할려면 95(희망하는 레지)+100(헬 에선 기본 레지가 -100입니다)+205(컨빅및 그리폰에 의해 깍이는 숫자)=400

즉 자기의 총 라이팅 레지가 400이 되어야먄 실제 피스트 맞았을때 95의 라이팅 레지를 유지합니다. 우여 곡절 끝에 95의 유효 레지를 맞추었습니다. 그럼 이 레지로 731의 대미지는 얼마나 줄일수 있을까요?
731*(1-95/100)=731*0.05=36이 되네요. 그럼 우리의 썬더갓은 40을 커버 하므로 36데미지는 무시되고 4씩 맞을때 마다 피가 차버립니다.

경우2. 팔라교복 못입는데.. 썬더갓하고 프로젝트링이라 껴보까?
---- 20%라이팅 흡수 짜리 프로젝트링에 의해서 감소 되는 대미지는 20*2=40%입니다. 즉 731대미지를 프로젝트링 한개만 꼈을때 731*0.6=438이군요. 우리의 썬더갓으로 이 대미지를 커버 할려면 레지에 의해 감소 된 대미지가 40이하여야 합니다. 438이 40이하로 될려면 레지는 40/438=0.091이 되어야 하는군요. 이 말인즉 90이상의 라이팅 레지가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썬더갓만으로는 최고 레지가 85밖에 안되므로 프로젝트링 하나 껴서는 죽었다 깨도 흡수가 안되는군요. 하지만 이경우 실제 맞는 대미지는 731*(1-85/100)*(1-20*2/100)-20*2=25입니다. 한대 맞을때 마다 25깍이는거죠. 이정도는 맞아줄수도 있죠. 이경우 레지가 85필요함으로 95의경우보다 10이작은 390의 라이팅 레지는 여전히 필요합니다.

경우3. 난 쌍 프로젝트링을 낄래~
---- 쌍으로 프로젝트끼고 썬더갓 차면 레지 어찌 맞추면 될까요?
20프로젝트 2개면 20*2*2%=80%를 커버 합니다. 즉 적의 대미지가 20%로 줄어 버리죠.. 위의 731대미지가 쌍프로젝트링을 낌으로 써 731*0.2=146이 됩니다. 이 수치를 썬더갓이 커버 할려면 40/146=0.28이군요. 이말은 72의 라이팅 레지만 있음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효율 면에서 쌍으로 프로젝트 링 낀거 치고 레지가 많이 필요하군요.

이런식으로 필요한 레지나 %흡수를 고려해볼수 있습니다. 중요한건 적의 대미지 자체가 높을수록 %흡수의 역할및 최대레지의 역할은 엄청납니다. 그리고 라이팅 계열의 대미지는 민맥차가 심하게 나기때문에 극단적으로 맞출필요또한 없다고 생각됩니다.


맞춰야 하는 누적레지 정도는 a,b에서 고려한 식으로 맞추면 되는데 과연 레지가 75, 85, 90,95에 대하여 얼마만큼의 효과를 가지는 지 마지막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미지 계산식을 역으로 생각해보겠습니다.
1. 썬더갓 , 20프로젝트링 2개로 흡수 할수 있는 최대 대미지
라레 85일때: 40/(1-80%흡수)/(1-85%라레)/0.17=7843
라레 90일때: 40/0.2/0.1/0.17=11764
라레 95일때: 40/0.2/0.05/0.17=23529

세번째 예를 보면 썬더갓 차고 쌍프로젝트링 끼고 팔라교복이나 로룬 2개를 동원하면 23k라이팅 대미지는 우습게 흡수 됨을 알수 있습니다. 여기에 라세라도 하나더 들어서 %흡수량을 늘여 버리면 48k라이팅 댐지 흡수하는건 일도 아니게 되죠. 피스트는 누적 라레를 많이 필요하는대신 흡수셋은 약해도 상관없고, 1번 예와 같이 세팅하면 차지드는 무조껀 흡수 된다고 할수 있습니다. 차지드나 라이팅 소소의 경우 누적레지는 스킬에 의한 레지 깍이가 없으므로 맞추시기도 용의 합니다.

2. 쌍 드워프, 라이징 썬(대략 70흡수한다고 가정)에 의한 파이어 흡수
파레 75일때: 70*2/(1-15%*2/100)/(1-75%파레)/0.17=4705
파레 90일때(팔라교복/핫스퍼) : 140/0.7/0.1/0.17=14285
파레 90만 유지해도 왠만한 파이어 공격은 커버가 된다고 할수 있습니다.

3. 쌍 레이븐, 스노우 벨트(15흡수)에 의한 콜드 흡수
콜레 90일때: 15*2/(1-20%*2/100)/(1-90%콜레)/0.17=8823
콜레 95일때: 30/0.2/0.05/0.17=17647
콜레의 경우 누적 맞추기가 힘들지만 일단 누적으로 95유효 레지만 유지하면 천하무적 블리자드맞아도 흡수가 됩니다.

여기서 눈여겨 보셔야 하는건 최대 레지가 90인것과 95인것과의 차이는 하늘과 땅차이라는 겁니다. 90%는 0.1로 줄여 주지만 95%는 0.05로 줄여서 90%셋보다 95%셋이 2배나 큰 댐지를 흡수 할수 있게 만듭니다.

4. Attack rating(어레) & Blocking
글이 무지하게 길군요. 필요한 요즘만 말씀드릴께요;;

Chance to Hit % = 100 x AR / (AR + DR) x 2 x Alvl / (Alvl + Dlvl)

여기서 AR은 어텍 레이팅,DR은 디펜스 레이팅으로 캐릭터 창에 각각 표시 됩니다.
Alvl은 공격자 레벨이고 Dlvl은 얻어맞는자의 레벨입니다. 가끔 저랩 캐릭들이 고랩 캐릭을 어레가 필요한 공격으로 두들기시는데 이건 정말 잘못된 일이라 할수 있습니다. 만일 두사람의 어텍 레이팅과 디펜스 값이 같다고 하고 공격자 레벨이 45 수비자 레벨이 90이라고 한다면 때리는 캐릭은 원래 자기가 가지는 어레의 반정도만 유효한게 됩니다. 저랩분들.. 랩업하고 피케이 방 가시길 ^^;

블럭에 대해서도 질문이 자주 있는걸로 압니다. "소소가 블럭75 맞추려면 덱스 얼마 찍어야 해요???"하는 식의 질문 말이죠.
Total Blocking = (Blocking * (Dexterity - 15)) / (Character Level * 2)
여기서 Total Blocking이란건 캐릭창의 디펜스에 마우스 가져가 면 보이는 실제 블럭 수치이며 Blocking은 방패에 표시되는 블럭+아이템에서 증가하는 블럭(팔라 교복에 이런 옵션이 있죠)입니다.
한때 제 드루가 모너크에 엘드 작하고 다닐때가 있었는데, 사람들이 왜 엘드 작을 했냐고 자주 묻곤 했죠. 드루/네크/소소는 모너크 블럭율이 67%입니다. 따라서 75% 블럭을 유지 하려면 레벨당 75*2/67=2.238의 덱스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엘드작하면 블럭을 7%올려줘서 모너크 블럭이 74%됩니다. 이렇게 됬을때 레벨당 2.017덱스가 필요합니다.
94레벨에서 그냥 모너크는 덱스를 223되게 해야만 75%블럭이 나오는 반면, 엘드작은 206덱스면 됩니다. 드루/네크/소소의 경우 방패에 엘드작 해버리면 94레벨에서 모너크에 17덱스 짜리 주얼을 박은 샘과 동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어레와 블럭에서 중요한점은 캐릭이 움직이면 실제 블럭은 표시되는 블럭의 1/3으로 떨어진다는 점과 뛰면 때리기 계산식에서 100% 맞는걸로 계산 합니다. 즉 블러킹 하지 않는 이상 무조껀 맞는다는 거죠. 아마존이 도망가면서 퓨리 던지고 뒤따르는 팔라딘이 어이없게 자주 맞는현상이 바로 이거때문입니다. 가만 서있는 상황에선 퓨리 잘 안맞지만 차지로던 달리기로던 따라가면 블럭이 뚝 떨어지게 되고 블럭하지 못하면 어레와 상관없이 무조껀 맞습니다.

5. Walking/Run Speed
패런에 대한 자료는 이전부터 종종 연구가 되어 왔습니다. 따라서 여기선 잘 알지 못하는 자료를 소개합니다.

a. 화면 사이즈
640*480화면 (실제 보이는 화면 = 640*432:화면 아래쪽에 이상한게 있죠)
가로폭 : 13.3야드, 세로폭: 18야드

800*600화면 (실제 보이는 화면 = 800*552)
가로폭 : 16.7야드, 세로폭 :23야드
스크린 사이즈에 비해 세로폭이 큰 이유는 디아 화면이 비스듬히 쳐다보는 모습이기때문입니다.

b.걷기/달리기 속도
모든 캐릭이 똑 같이 걷기 속도는 4야드/초, 달리기 속도는 6야드/초(걷기 속도+2야드/초) 입니다. 차지 속도의 기본은 9야드/초입니다.
여기서 유의 점은 걷기 달리기 속도는 아이템의 의해 증가되지만 차지 속도는 아이템에 무관하며 단지 비거 같은 스킬에만 의존합니다.

c. 아이템에 따른 달리기 감소
Medium 계열의 방패나 갑옷을 입었을시 : 달리기/걷기 속도 -0.2야드/초, 차지 속도 -0.45야드/초
Heavy 계열의 방패나 갑옷을 입었을시 : 달리기/걷기 속도 -0.4야드/초, 차지 속도 -0.9야드/초

d. 느리기 효과
얼거나 디크리 걸렸을때 : 달리기/걷기 속도 -2야드/초, 차지 속도 -4.5야드/초(50%슬로우가 적용됨)
슬타, 홀리 프리즈에 의한 느리기 :
달리기/걷기 속도 : 슬타% * -0.04야드/초, 차지속도 : 슬타% *-0.09야드/초
아이템에 의해 증가하는 달리기 속도는 그 증가 값이 커짐에 따라 효과는 줄어들며 스킬에 의한 달리기 증가(비거나 버스트 스피드등)은 정확하게 걷기속도의 %가 적용됩니다. 가령 스킬 이동속도 50%면 걷기속도는 6야드/초가 되고 달리기 속도는 걷기 속도 +2야드/초=8야드/초가 됩니다.


6. Replenish life(라잎 재생) & Regerneration Mana(리젠 마나)
라입 재생 공식:

(25 * "+Replenish Life") / 256 = Life Per Second

이 값은 대략적으로 "라입재생 수치"/10으로 계산 될수 있습니다. 아이템에서 만일 라입재생이 20붙어 있으면 초당 2씩 피가 차는게 됩니다.

마나 재생 공식:

25 * [[256 * max_mana / (25 * 120)] * (100 + %Mana Regeneration) / 100] / 256

[]의 의미는 버림을 의미하며, 이 식을 대략 풀어 쓰면, 재생되는 마나=최대 마나*(100+%마나 재생)/100/120 이 됩니다.<br> 즉 마나 재생이 높으려면 기본 마나통이 클수록 많이 재생됨을 알수 있습니다. 마나가 1000이고 마나 재생이 100%라고 하면 대략 초당 1000*2/120=4.16의 마나가 생성 되는것으로 생각보다 효과가 미미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7. 각종 자료
다음은 Tommi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자료들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을 클릭해보시기 바랍니다 (영어라죠;;)

패힛 프레임표
http://www.hut.fi/~tgustafs/hitrecovery.html#FHR

패블럭 프레임표
http://www.hut.fi/~tgustafs/hitrecovery.html#FBR

이동속도표
http://www.hut.fi/~tgustafs/movementspeed.html

패케 프레임
http://www.durune.com/bbs/zboard.php?id=d2info&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패캐&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984

엘리드루 꺼는 아래를 참고 하시길
http://www.durune.com/bbs/zboard.php?id=d2info&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패캐&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0617

공속 계산 프로그램
http://diablo2.ingame.de/tips/calcs/weaponspeed.php?lang=english

가상 스킬 프로그램
가상 스킬을 이용하실때 시너지 부분은 직접 찍은숫자만 입력하셔야 제대로 된 값이 나옵니다
http://www.d2items.com/skills.php

8, 끝 맺으며
여러가지 도움 되는 자료들을 올리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두서가 없네요. 각종 스피드 계산식을 필요로 하시는 분들이 참고하셔서 스면 되리라 생각됩니다. 지금껏 읽어 주신다고 수고하셨습니다.

참고: 닷지, 어보이드, 이베이드 속도는 8프레임입니다.

HTML 사용하기 참 번거럽네요. 제로 보드 자체에서 해결하는게 많으니 정식 HTML을 사용하면 이상하게 되네요 ㅡㅡ;


2009. 8. 27. 13:20

배틀오더스의 피뻥튀기는, 뻥튀기를 시켜주는 피가 있고 아닌 피가 있습니다. 쩝...


그냥 맘편하게 다 뻥튀기 시켜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차별이 있더군요.-_-;


유감스럽게도 다양한 피증가 옵 중, 오더스가 뻥튀기를 시켜주지 않는 피가 꽤 많습니다..-_-;

 



(1) 뻥튀기 시켜주는 피 옵션 (오더스의 영향을 받는 피 옵션)


- 순수 스탯투자 (바이탈)에 의한 피
   => 팔라는 1바이탈 당 3피가 증가합니다. 이 피는 바이탈 옵이 붙은 아이템
        (ex. 미쓰릴의 +40바이탈)의 바이탈을 제외한, 그야말로 '직접 찍은' 피를 말합니다.


- 렙업 보너스로 얻은 피
   => 팔라는 1렙업당 2의 피증가 보너스가 있습니다. 95렙까지 키우면 188 (94*2) 피증가가 있죠.


- 액트3 황금새 쾌스트 보너스로 얻은 피
   => 노멀, 나메, 헬 퀘스트 깨주면 피 20 증가시켜 주죠.


- + XX life 옵이 붙은 아이템, 참
   => 피증가 옵이 붙은 아이템 및 피참으로 얻은 피입니다. 전투피참이 왜 중요하고 그토록 비싼지 다 이유가 있죠.
       전투피참을 비롯, 모든 피참(스몰 20피참 등)은 콜투암 배틀오더스에 영향을 받습니다.
       아울러 아이템에 붙은 피 역시 오더스 효과를 받습니다. 여기서 피는 '바이탈' 이 아닌 '라이프'를 말합니다.
       블피장의 +40피, 유닉 메쉬갑의 +60피가 이 경우에 속합니다.

 

이러한 아이템 및 참에 붙은 피(라이프)는 피통관리의 핵심이며 최대한 많은 라이프를 확보해야 합니다.



(2) 뻥튀기 시켜주지 않는 피 옵션 (일명 어둠의 자식, 오더스가 영향주지 않는 피옵션)

- + XX 올스탯에 의한 피
   => 올스탯. 정말 기분좋은 옵이지만 아쉽게도 올스탯으로 올라가는 바이탈은 오더스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그냥
       케릭 특성에 따라서 피만 올려주죠.
       예를들어 1/20/20/10의 애니참을 쓸 경우 팔라에게는 60피를 올려주지만 오더스의 영향은 받지 않습니다.
       콜투를 왜쳐도 애니참이 올려주는 피는 60피일 뿐입니다. (팔라 : 1바이탈 당 3피)
       이런 장비들은 대표적으로 샤코(올2스탯), 애니참 (올10~20스탯), 마라 (올5스탯) 및 슴딘이 쓸일은 없지만
       죽숨 (올 30스탯) 등입니다. 이 장비들의 바이탈 스탯은 팔라의 라잎특성인 곱하기 3배수 피는 올려주지만
       오더스에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 XX 바이탈에 의한 피
   => 위와 비슷한 경우인데 올스탯이 아닌 바이탈만 붙은 경우입니다. 대표적으로 유닉 미쓰릴 코일을 들 수 있죠.
       40바이탈이 붙으면 120라잎으로 올려주지면 오더스를 외쳐도 뻥튀기는 되지 않습니다.


- 렙당 XX 생명력 증가 옵션
   => 샤코, 발카링 등에 붙어 있는 옵이죠. 역시나 오더스에 영향을 안줍니다. 발카링의 피증가효과는 작은 편이죠.
       마찬가지로 샤코의 렙당 마나증가 옵 역시 오더스 영향 안받습니다.
       전에 제가 말했듯이 코로나로 패힛, 레지를 충족시키고 그 공간에 20피참을 두는것이 오더스 효과를 위해서는
       더 바람직합니다.


- 렙당 XX 바이탈 증가 옵션
   => 이 옵은 꽤 좋은 피증가 효과를 보여주지면 아쉽게도 오더스 효과를 받지 못합니다.
        유닉 발록스킨, 유닉 헬슬레이어 등에 붙어있는 바이탈 증가 옵이 이런경우를 의미합니다.

 

(두루네 정보 강좌란에서 ....)



2009. 8. 27. 13:17

출처 : 트디 /   달빛자르기님



////////////////엘리트갑옷과 팔라딘전용 엘리트방패 디펜스/////////////////
이하는 트레디아내 아이템섹션에 있는 기본디펜스를 토대로 제가 전부 계산해서 나온 수치이므로,
약간의 오차는 발생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99%이상 정확합니다.
필요로 하는분들이 있을꺼 같아서;;;; 재탕합니다. ^^;


/////엘리트갑옷/////

          갑     옷     명   에테로주웠을때   버그큐빙했을때  스톤작업시최상의디펜

더스크슈라우드  541.5 ~ 700.5     812.25 ~ 1050.75          4097.925

와이엄하이드     546   ~ 705        819     ~ 1057.5            4124.25
  
스캐럽허스크     553.5 ~ 711        830.25 ~ 1066.5           4159.35

와이어플리스     562.5 ~ 721.5     843.75 ~ 1082.25          4220.775

다이아몬드메일  574.5 ~ 733.5     861.75 ~ 1100.25          4290.975

로리케이티드     585   ~ 744         877.5  ~ 1116              4352.4

그레이트허버크  592.5 ~ 751.5      888.75 ~ 1127.25         4396.275

본위브              598.5 ~ 757.5      897.75 ~ 1136.25         4431.375

발록스킨           615   ~ 775.5       922.5  ~ 1163.25         4536.675

아칸플레이트     615   ~ 786         922.5  ~ 1179             4598.1

크라켄쉘           625.5 ~ 784.5      938.25 ~ 1176.75         4589.325

헬포지플레이트  631.5 ~ 795         947.25 ~ 1192.5          4650.75

레커드플레이트  649.5 ~ 811.5       974.25 ~ 1217.25        4747.275

쉐도우플레이트  669   ~ 835.5       1003.5 ~ 1253.25        4887.675

세이크리드아머  730.5 ~ 900         1095.75 ~ 1350           5265



이상은 트레디아네 아이템섹션에 있는 엘리트방어구의 기본디펜스를 토대로

계산상으로 나온 수치이므로 약간의 오차는 발생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99%정도는 정확하다구 생각됩니다.

힘들게 계산한 만큼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by 달빛자르기


아 참고로 하나더 추가하자면, 버그 큐빙할때 디펜은 무조건 고정적으로 올라갑니다.

주운 재료갑 디펜 x 1.5 를 해주면 버그큐빙시 나오는 디펜 수치가 됩니다.

또한, 자신의 버그갑을 스톤작업시 디펜을 미리 알아볼려면,

버그갑 디펜 x 3.5 = 최하로 나왔을때
버그갑 디펜 x 3.9 = 최고로 나왔을때


/////팔라딘전용 엘리트 방패/////

               방   패   명      에테로주웠을때   버그큐빙했을때   망명작최상디펜

세이크리드타아지    189 - 237           283.5 - 355.5       1279.8

세이크리드론다쉬    205.5 - 246        308.25 - 369         1328.4

쿠라스트쉴드          231 - 258           346.5 - 387          1382.4

쟈카럼쉴드             253.5 - 289.5      380.25 - 434.25     1563.3

보어텍스쉴드          273 - 337.5         409.5 - 506.25      1822.5


이상은 노슈페 에테 재료방패를 버그 큐빙했을때 나오는 수치와  망명작을 햇을때 최상으로 나오는
디펜스의 수치입니다.

계산상으로 나오는 수치이므로 약간의 오차는 있지만 99%이상 정확하다구 생각합니다.


당부하지만,

노슈페 에테 45올레지 엘리트 방패로 버그큐빙시 소켓수는 랜덤으로 1~4개가 뚫히므로

이거야 말로 도박입니다;;;;;;; 4소켓 나오면 대박이지만, 안나오면 대략 낭패;;;;

생각들 잘하시고 하시기 바랍니다.